crittic
[스크랩]
<무모협지>, 정통 무협 비틀기의 즐거움
6be1ab916957cb27113c9ff0e510fe0d.jpg

이 작품은 단순한 무협 개그 만화가 아니다. 무협 액션신의

강렬하고 자유분방한 연출은 독자에게 주는 또다른 선물이다.

<무모협지> (글 그림 초신우 네이버웹툰 연재)

 

 

코미디의 기본이 의외성이라면 <무모협지>에는 상식을 깨는 캐릭터,

예상 외의 전개, 엉뚱한 상황, 완전히 상반된 요소들의 결합이라는

코미디의 기본 요소들로 그득하다.

 

 

오늘날 무협 소설은 여러 장르문학 중에서도 신규 독자의 유입이 가장 더딘 분야로 분류된다. 흔히 무협 소설을

서구 판타지 장르에 비견해 동양 판타지라 일컫는 것은 그런 의미에서 꽤 의미심장하게 느껴지기도 한다.

어쩐지 젊은 독자들을 끌어들이기 위한 손쉬운 비유처럼 보이지만 의외로 정통 판타지 장르와 명확한 대구를

이루면서 무협 소설의 본질을 정확히 드러낸 말이기 때문이다.

 

우선 무협지에는 정통 판타지처럼 특정한 세계가 존재한다. 무림(武林) 혹은 강호(江湖)라 불리는 중원 대륙이

무대이며, 이곳은 늘 무()를 수단으로 협()을 목적으로 삼는 이들의 각축장이 된다. 다양한 파벌이

이합집산하는 문파의 개념은 작품마다 달라지기도 하지만, 대체로 구대문파를 중심으로 한 정파와 그에

대항하는 사파의 대립, 무공을 얻고 단련하는 일련의 체계나 과정은 거의 모든 무협지의 공통 근간을 이룬다.

물론 작가가 창조한 새로운 개념들이 각 작품의 개성을 나타내기도 하지만, 기존 정통 무협지의 배경과

설정을 이해하지 않고는 작품의 재미를 온전히 받아들이기 힘든 것도 사실이다. 주로 젊은 무협 소설 독자들이

퓨전 무협을 애독하는 것은 아마도 이런 이유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코미디라면 이야기는 달라진다. 굳이 중원, , 협이라는 무협의 3요소를 알 필요도 없다. 정파와 사파가

모종의 이유로 대립하고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자유로운 변주, 나아가 장르에 대한 기만까지 가능해진다. 중국 작가

초신우의 만화 <무모협지>는 정통 무협과는 무관하게 무림이라는 이()세계를 우리 세계와 합일시키는 코미디다.

쉽게 말해 무협지의 애독자가 아니라 일반적인 현대 독자의 눈으로 바라본 무협 세계를 그린 작품이다.

 

목야방의 방주 풍성모는 절정의 무공을 지녔음에도 외모 때문에 고민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젊은 나이에 대머리가

된 탓에 나름의 고충이 있을 법도 하지만 그래도 여기는 무공이 최고인 무협 세계가 아니던가. 그래서 풍성모의

고민도 곧 색다른 걱정거리로 치환된다. 예컨대 그는 거구에 대머리라는 외모 때문에 외부인들에게 방주가

아닌 2인자, 때로는 일개 방파원으로 오해받기 일쑤다. 부방주 당가위가 무림인에게 외모는 중요치 않다며

그에게 진정으로 존경의 마음을 표한들 콤플렉스는 쉽게 사라지지 않는다. 특유의 아름다운 은발을 찰랑거리며

말하니 무슨 위로가 되겠는가. 이윽고 방주의 고민에 동참하고자 방파원들 모두 삭발을 했더니

정파 무림인들은 그 속도 모르고 이들을 향해 괘씸하다 말한다.

 

너처럼 피를 묻힌 놈도 스님이 된다니.”

코미디의 기본이 의외성이라면 <무모협지>에는 상식을 깨는 캐릭터, 예상 외의 전개, 엉뚱한 상황, 완전히

상반된 요소들의 결합이라는 코미디의 기본 요소들로 그득하다. 캐릭터들은 온통 무협이라는 상식을 깨는 데

집중한다. 발모제를 찾아 헤매는 풍성모만이 아니라 다른 무협인의 실상 또한 늘 예상 밖이다. 예컨대

대외적으로는 마교(魔敎)’라는 무시무시한 이름으로 불리지만 실상은 생활고에 허덕이질 않나, 평생 무공에만

힘쓴 나머지 소양이 부족한 이는 늦은 나이에 학업에 매진 중이다. 무림인이라더니 정작 중요한 일은 관아,

즉 공권력에 이양하기도 하며, 호기롭게 술을 마신 무인들이 학업을 위해 일찍 술자리를 파하며 더치페이를

한다. 엉뚱한 상황 역시 만만치 않다. 여자만 있는 흑락당에 잠입한 소림파 밀정 여초희의 외모는 다른 여성들

사이에서 무척 도드라짐에도 불구하고 정작 그의 발목을 잡은 것은 남성의 듬직한 외모가 아니라 남자라

생리 휴가를 쓸 필요 없는 눈에 띄는 근면함이었다. 또한, 마교 자석당의 당주 돈모는 강호화타라는 명의로

일컬어지는데 사실 그의 특기는 심리치료다. 무림 세계에서는 듣도 보도 못한 심리치료를 언급하는 것부터가

황당하지만 현재는 마교주의 조급증을 자폐증으로 바꿔놓은 탓에 숙청대상 신세란다.

 

이렇듯 무림인을 현대의 생활인처럼 묘사한 듯한 기이한 상황을 가만히 응시하는 것만으로도 꽤 특별한

웃음을 선사하지만 <무모협지>는 기어코 여기서 한발 더 나아간다. 이를 위해 여타의 개그물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과장된 표정이나 동작은 철저히 배제한다. 시종 진지한 표정과 행동으로 우선 무림 세계를

견고히 구축하는 것이 <무모협지>가 추구하는 개그의 발단이기 때문이다. 그리고는 곧 무림인답다 싶은

진지한 언행에 찬물을 끼얹는다. 수려한 그림은 여기에 더더욱 가파른 간극을 더하기 마련이다.

 

외모에 대한 편견에서 시작한 이야기는 점차 무협이라는 장르를 전복하는 것으로 발을 넓히는 중이다. 예컨대

무림인으로 행세만 한다고 온전히 무림인으로 설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문파를 운영하기 위해선 자금이 필요하고

그래서 다른 한편에서는 무협과는 무관한 사업에도 힘쓸 수밖에 없다. 게다가 그 사업이라는 것도 네 칸짜리

훠궈 냄비를 앞세운 요식업이다. 무림인이라고 해서 사기꾼의 얄팍한 술수에 빠지지 않는 것도 아니다.

행인들에게 통행세를 뜯는 악당들을 혼내주기는커녕 오히려 순순히 통행세를 내는 것도 납득이 간다. 직접

길도 내고 나무도 심어서 통행세를 받겠다는데 어쩌겠는가. 모두 무협이라는 장르의 눈이 아니라

일반적인 현대인의 눈으로 바라본 상황 일색이다.

  

 

  328fa68c64159f88741ed1c9ae107e8b.jpg

남자에게 있어, 대머리를 치명적 아픔(?)으로 여기는 것은

유독 동양적 관점이다. 그러나, ‘풍성모라는 주인공의 이름이

오히려 아픔을 개그 코드로 승화하는 듯한

느낌마저 준다.

 

 

단지 대머리 놀리기로 시작한 이야기는 현재 풍성모만이 아니라 여러 인물과 장소, 상황을 통해 동시다발적으로

무협 장르의 상식과 설정을 이리저리 주무르며 뒤집고 비트는 중이다. 물론 대머리는 여전히 이 작품의

가장 중요한 개그 코드 중 하나다. 발모제를 향한 풍성모의 집착이 계속되는 한 이것을 쉽사리 놓는 일도

없을 것이다. 하지만 탈모를 중심에 둔 외모 비하 개그는 상대적으로 금세 희석되는 편이다. 외모에

대한 편견을 통해 갖가지 착각과 오해로 파급되는 개그도 재미있긴 하다. 그러나 무엇보다 작품의 핵심은

캐릭터 모두를 진지한 무림인으로 두고도 처음부터 이들을 일반적인 강호의 틈바구니에조차 놔두지 않으려는

강렬한 악취미에서 찾는 게 옳을 것이다. 이야기 전체 구조는 길게 가져가는 가운데서도 한 회마다 단락을

짓는 완결형 에피소드를 지향하기에 각 캐릭터의 포지션마다 무협 장르의 요소요소를 뒤튼 재기는 더욱 돋보인다.

진지한 무림인들로 판을 벌여놓았으니 하나둘 만남을 주선하고 계속해서 세를 확장하는 것만으로도 무협이라는

견고한 세계를 전복하기엔 모자람이 없어 보인다. 조금은 괴상하고 너무나도 진지한 강호인들이

꽤 생경한 웃음을 불러일으키는 이유다.

 

강상준 | 대중문화 칼럼니스트. <DVD2.0> <FILM2.0> <iMBC> <BRUT> 등의 매체에서

기자로 활동하면서 영화, 만화, 장르 소설, 방송 등 대중문화 전반에 대한 글을 쓰며

먹고 살았다. <위대한 망가> <빨간 맛 B컬처> 시리즈 등을 썼다.



*<지금, 만화> 제1호~제5호는 한국콘텐츠진흥원에서 PDF파일을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