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ittic
[스크랩]
유럽의 추상적 형식 만화 (European Abstract Formalist Comics)

비평

유럽의 추상적 형식 만화
(European Abstract Formalist Comics) [1]


 

김주하

 

알렉시 보끌레흐 (Alexis Beauclair)
<글로브>(Globe)(2008),
<로토 시리즈>(Loto)(2014 -),
<광자>(Photon)(2014),
<미로>(Labyrinthe)(2014),
<이진 구성>(Compositions Binaires)(2015),
<사라지는 원근법>(Perspective Fuyante)(2015),
<솔>(Sol)(2016), 
<어바웃 시리즈 #5>(About Series #5)(2016)[2] 

 


장 필립 브레탱(Jean-Philippe Bretin)
<논-스톱 로드>(Non-Stop Road)(2015),
<깊은 계곡>(Deep Valley)(2014), 
<리포트>(Report)(2016)[3] 


 

마고 뒤세뉴 (Margaux Duseineur)
2012년 이후 작품들


 

요헨 게르너(Jochen Gerner)
<고속>(Grande Vitesse)(2009),
<추상>(Abstraction)(2011) [4], [5] 


 

루이 그라네(Louis Granet)
<포트 워쓰>(Fort Worth)(2014)

 

마티 하이겔버그(Matti Hagelberg)
<건물 도움말>(Rakennusohje)(2012)


 

로메오 줄리엔(Romeo Julien)  
<진행중인 작업>(Chantier en course 1/7)(2015), 
<아스트랄>(Astral)(2016)


 

스테파니 레이노스(Stefanie Leinhos)
2011년 이후 작품들 [6]  


 

니콜라스 나데(Nicholas Nade)
<노부>(Nobu)(2016),
<재료들>(Ingredients)(2016)


 

안토니에 올랑드(Antoine Orand)
<스핑크스 2> (Sphinx 2)(2014),
<스타게이트> (Stargate)(2014),
<맑은 샘> (Claires Fontaines)(2016),
<어떻게 우리가 만났을까> (How We Met)(2016),
<상대성> (Relatives)(2016)



 

안 파주발리 (Ann Pajuvali)
<빗>(Kammib)(2014)

 

 

니클라우스 루엑(Niklaus Ruegg)
<스퍽>(SPUK)(2004)

 

프레데릭 루쉬(Frederique Rusch)
<무제 만화책> (Untitled Comic Book)(2013)




그렉 쇼(Greg Shaw)
<그림 여행>(Parcours Pictural)(2005)[7] 




새미 스타인(Sammy Stein)
2014년 이후 작품들

 
 
 

추상적 형식 만화

위의 인상적인 만화 작품들은 모두 비슷한 주제, 소재, 내용, 서사, 양식을 가지고 있으며, 비슷한 시대와 지역에서 만들어졌다. 나는 2016년 현재 매우 활발히 발전하고 있는 이 장르를 유럽의 추상적 형식 만화(European Abstract Formalist Comics) 장르라 이름 붙였다. 

추상적 형식 만화 (Abstract Formalist Comics)는 직접적으로 만화의 가장 추상적이고 근본적인 형식적 요소[6]를 탐구한다.

시공간, 반복 변형, 색, 재현, 시점, 언어, 이미지, 드로잉, 텍스쳐, (공간의) 차원, 물질과 그 질량, 미디어, 출판, 자연의 법칙, 운동, 변증법, 과정, 건설, 파괴 등이 그 예다.

 

많은 다른 만화 작품도 이런 추상적 형식 요소들을 고민하지만, 추상적 형식 만화는 이 요소들을 탐구하는 것이 만화의 다른 면보다 강조된다는 점이 다르다.  

 

이는 추상적 형식 만화가 서사 대신 ‘과정’이나 이미지를 나열하거나 언어를 갖지 않아서 가능하다.
 

대사와 서사가 존재하지 않으므로써, 추상적 형식 만화는 독자가 보통 집중하게 되는 서사를 비롯한 문학적 가치(캐릭터의 심리, 복선 등) 보다 형식적 요소를 중요시한다.
 

또한 대부분의 추상적 형식 만화는 기하학적이고 매끈한 선 드로잉과 색을 사용한다. 이 비인간적, 비-감정적, 기계적 양식 역시 작가의 손 보다는 작품에 형식적 요소에 집중하게 만든다.  

 


'추상적 형식 만화'와 '추상 만화'의 차이

추상적 형식 만화는 북미와 유럽에 알려져 있는 추상 만화(abstract comics)[8] 와는 다르다.  

첫째, 추상적 형식 만화엔 추상뿐만 아니라 구상적(재현적) 물체가 등장한다. 인간이 나오는 작품도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만화 작품들과 달리 등장 인물의 심리보다는 행동이나 몸에서 보여지는 물질성에 더 관심을 둔다.

즉, 추상적 형식 만화의 '사람'은 움직이는 그저 다른 물체에 지나지 않는다.  

 

다음으로, 그렉 쇼의 ‹Veuve-Poignet›(2006) [9] 또는 루이스 트론드하임의 새로운 <포르노그라피>(La nouvelle pornographie)(2006) 처럼 추상 만화는 서사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추상적 형식 만화는 서사가 존재하지 않는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서사보다는 운동, 반복, 변형 등의 과정을 보여준다.  





왜 하필이면 ‘유럽’의 추상적 형식 만화인가?

위에 언급한 작품들은 대부분 프랑스-벨기에의 작품이며, 예외 없이 전부 다 유럽 작품이다. 유럽이 아닌 곳에선 이러한 추상적 형식 만화가 매우 드물다.

그나마 존재하는 미국의 앤디 벅홀더(Andy Burkholder)의 ‹ITDN›(2016), 노엘 프레이버트(Noel Freibert)의 ‹Comics for Nothing›(2015), 그리고 솔 르윗의 아티스트 북들[10], 브라질 루이 아랑귀의 ‹Re/Forma›(2014), 한국의 류경호텔, 그리고 일본의 유이치 요코야마와 타이거 타테이시의 작품들은 각각의 나라, 문화, 대륙에서 예외로 존재한다.  


더욱이, 앞서 언급한 유럽의 추상적 형식 만화가들은 함께 일하며 ‹Lagon›(알렉시 보끌레흐와 새미 스타인 편집) 이나 ‹Super Structure›같은 앤쏠로지에 같이 참여한다.

하지만, 비-유럽의 작가들은 독립적으로 작업하며, 추상적 형식 만화와 비슷한 만화들만을 모은 앤쏠로지도 존재하지 않는다.  


유럽의 추상적 형식 만화는 지금 현재 매우 발전중이다. 모든 작품들이 21세기에, 그리고 대부분의 작품들이 2010년 이후에, 젊은 작가들에 의해 만들어졌다.  

마지막으로, 가장 위대한 추상적 예술 만화인 제니퍼 바틀렛의 <랩소디>(Rhapsody)(1975)를 보자. 이 작품의 양식(스타일) 뿐만 아니라 주제와 소재들 또한 앞서 언급한 추상적 예술 만화와 같다.





랩소디는 반복과 변형, 시퀀스, 칸, 색, 형, 선, 점, 픽셀, 구상과 추상, 재현, 리얼리즘, 드로잉, 페인팅, 해상도, 양식, 형식, 부분과 전체, 리듬, 콜라쥬, 전용, 낙서, 플랫함, 자연과 인공, 운동, 서사, 그리드, 이미지, 사진, 고급 예술과 하위 예술, 시간, 공간, 예술사 등등을 탐색한다.[11] 

무엇보다도, <랩소디>는 우리에게 추상적 예술 만화를 감상하는 법을 알려준다.

일일히 작품을 분석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랩소디>라는 제목에서 알 수 있듯, 음악을 들을 때처럼 본능적으로 추상적 예술 만화의 시각적 아름다움을 감상할 수도 있다.  

 

 

 

[1] 이 글은 Kim Jooha. “European Abstract Formalist Comics” good (art) comics. 2016 을 조금 수정하여 번역했다. 

[2] Kim Jooha. “(Scientific) Abstract Comics of Alexis Beauclair.” Comics Workbook Magazine #9.  2015. (링크)

[3] Kim Jooha. “Deep Valley by Jean-Phillippe Bretin: Comics, Drawings, Space and Panels.” good (art) comics. 2016. (링크)

[4] Daures, Pillau. “La duree et le temps selon Jochen Gerner.” du9. 2012.(링크)

[5] de Levis, Jean-Charles Andrieu de Levis. “Abstraction (1941-1968) de Jochen Gerner.” du9. 2012. (링크)

[6] Kim Jooha. “A Dialectic Approach to Comics Form.” good (art) comics. 2016. “만화 형식에 대한 변증법적 접근.”  

만화 형식의 기본적 요소들의 변증법적 관계를 고찰한다. (링크)

[7] Kim Jooha. “Parcours Pictural: Dots and Pixels of Comics.” good (art) comics. 2016. (링크)

[8] ed. Molotiu, Andrei. Abstract Comics: The Anthology. Fantagraphics. 2009. 북미와 유럽에서는 이 앤쏠로지 이후에 추상 만화가 하나의 장르로 자리잡았다.  

[9] Massaia, Loic. “Veuve Poignet de Greg Shaw.” du9. 2009. (링크)

[10] Kim Jooha. “Reading Sol LeWitt’s Artist Books as Comics.” good (art) comics. 2015. “솔 르윗의 아티스트 북을 만화로 읽기.” (링크)

[11] Bartlett, Jennifer, and Roberta Smith. Rhapsody. New York: H.N. Abrams, 1985.


 

YOUR MANAⒸ김주하
 


김주하 텀블러 (링크)